본문 바로가기

상수2

8-1. c언어 포인터와 상수 포인터 int a=10; 컴파일러는 컴퓨터에게 메모리 0x123456(임의의 16진수) 위치에서부터 4바이트의 공간에 있는 데이터를 10으로 바꾸어라!고 명령한다. (2진수 ...00001010) 로 저장될 것이다. 포인터는 특정한 데이터를 보관하는 '변수'이다. 바로, 특정한 데이터가 저장된 (시작)주소값을 보관하는 변수이다. 변수를 정의할 때 int 나 char처럼 여러가지 '형'(자료형)이 있는 것 처럼 포인터도 '형'이 있다. 포인터 기본구조 포인터에 주소값이 저장되는 데이터의 형 * 포인터의 이름 int*p; 이렇게 정의 하면 포인터 p는 int형 데이터의 주소값을 저장하는 변수가 되는 것이다. 그러면 이 변수에 값을 어떻게 집어넣지? & 연산자를 사용하면 된다. (a&b는 두개의 피연산자가 필.. 2023. 1. 31.
7. c언어 배열 array, 상수 배열 메모리 상에 같은 타입의 변수를 연속적으로 여러개를 한꺼번에 정의할 수 있는 방법 특정한 형(Type)의 변수들의 집합. 기본구조 배열의형 배열의이름 [원소갯수]={}; int arr[10] = { 1,2,3,4,5,6,7,8,9,10 }; 위의 배열은 int형의 10개의 원소를 가지는 배열이다. 즉 10개의 정수형 변수들을 보관할 수 있게된다. #include int main() { int arr[10] = { 1,2,3,4,5,6,7,8,9,10 }; printf("Array 3번째 원소 : %d \n", arr[2]); return 0; } Array 3번째 원소 : 3 배열 안의 원소들을 먼저 정의하기. int arr[3] = {1,2,3); //가능 arr = {4,5,6}; // 불가능 .. 2023. 1.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