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이썬5

이것이 코딩테스트다 2일차 - 파이썬 문법 : 입출력, 라이브러리 입출력데이터를 입력받을 때는 문자열로 입력받는다.input()따라서 입력받은 데이터를 정수형 데이터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정수로 바꾸는 int함수 사용int(input()) 여러 개의 데이터를 입력받을 때는 데이터가 공백으로 구분되는 경우가 많다 입력받은 문자열을 띄어쓰기로 구분하여 각각 정수 자료형의 데이터로 저장하는 코드의 사용빈도가 매우 높다list(map(int,input().split())) #입력받은 값을 공백기준으로 split하여 리스트 만듦 #map 함수로 리스트의 vlaue들을 int형으로 변환 #변환한 값들을 다시 list로 만듦 전형적인 소스코드n=int(input()) data=list(map(int,input().split())) # data.sort(reverse=True)등등 공.. 2023. 5. 31.
이것이 코딩테스트다 1일차 - 파이썬 문법 : 자료형과 함수 부록A2부 이론3부 문제 - 최소 3회이상 ADVICE책의 문제를 푼 다음 동일 유형의 문제 온라인 저지 사이트에서 풀어보기 if 그리디 풀었으면 그리디 다풀어보기(백준)책을 보는 동안에는 책에만 집중 (문제를 많이풀고 복기하는 방법)복기한 내용은 기록 -> 훌륭한 요약집문제해결에 대한 접근방식, 풀이방식을 기억 및 설명파이썬 문법자료형은 자동 무한 : INF, 최댓값이 있을 때는 예를들어 1e9(1,000,000,000)와 같이 설정 실수형의 연산에서는 정확한 값이 나오지 않을 수 있다. 메모리에 저장되는 값이 현실과 다름 보통 소숫점 다섯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이 같으면 맞았다고 인정하기 때문에 a라는 변수가실수 이면answer = round(a,4) Return answer 거듭제곱 연산자 ** .. 2023. 5. 31.
2. 파이썬 딕셔너리와 딕셔너리 메서드 딕셔너리 생성 d=dict() 딕셔너리에는 key와value가 묶여서 존재하고 index는 없다 value가 특정 key값에 저장되는 형태다. 딕셔너리 key에 value저장 d[key]=value value를 찾고싶을 땐 key로 연다고 생각 find=d[key] 딕셔너리 형태 d={key:value,key2:value2,key3:value3 ...} capitals={"korea":"seoul","usa":"washington","uk":"london"} Seoul 이라는 value가 Korea라는 key에 저장되었다. 딕셔너리 메서드 딕셔너리 함축 values=[1,2,3,4,5,6] dic = {x:x**2 for x in values if x%2==0} 2023. 2. 15.
1. 파이썬 리스트와 리스트 메서드 리스트 생성 list_1=[] list_2=list() 리스트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한다 리스트 메서드 리스트 라는 자료형에 내장되어 있는 함수라고 생각하면 쉽다 #example list=[1,2,3,3,5,4,5,6] print(list[2]) print(list.pop(2)) list[2]=10 print(list) print(len(list)) print(3 in list) print(10 not in list) list.sort() print(list) print(list.index(5)) list.append(99) print(list) list.remove(5) print(list) heroes=[] heroes.append('아이언맨') heroes.append('토르') print(hero.. 2023. 2. 15.
4. 파이썬 자료구조 해쉬테이블 Hash table 1. 해쉬테이블 구조 Hash Table은 key 에 Value를 저장하는 데이터 구조이다 파이썬의 딕셔너리라고 보면 된다 배열로 미리 Hash Table의 사이즈를 생성한 후 구현한다 공간과 탐색시간을 맞 바꾸는 기법이란, 공간을 늘리면 데이터를 탐색할 때 충돌이 적어져서 탐색 시간이 줄어드는 것을 의미한다. 즉, 각각 다른 key 값이 같은 hash 값을 가지고 있을 때 충돌이 일어나기 때문에 충돌 해결 알고리즘으로 해결해야한다. 파이썬에서는 해쉬를 별도 구현할 이유가 없다. 딕셔너리 타입을 사용하면 된다. 2. 알아둘 용어 Hash란 임의 값을 고정 길이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hash function을 이용해 고정길이 값인 hash값을 구한다. Hash Table이란 key 값의 연산에 의해 .. 2023. 1. 15.